현명하게 살아요/논란에 대하여

부모 자식 정치 성향이 다른데 어쩌죠?

아나포 2025. 3. 4. 13:53
728x90

가정의 평화를 위해 가족 사이에서 절대 정치적 이슈를 언급하지 말라고 하더라고요. 사실 따지고 보면 부모 자식이 서로 지지하는 정당이 다르고, 아들 딸 사이에서도 서로 정치 성향이 달라요.

 

처음엔 농담조로 지지하는 정당이나 후보에 대해 서로 놀리기도 하면서 자유롭게 이야기를 했는데, 사회적으로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면서 가정 내에서도 언급이 조심스러워지더라고요.

 

특히 부모님과 자식 사이에서 정치 성향이 서로 다를 때, 자칫 자기주장만 하다가 관계가 틀어지는 경우가 있어서 뉴스조차 함께 시청하기 어렵습니다.

 

자식과 부모가 정치 성향이 다를 때
서로 엇갈린 정치 성향을 보이는 부모와 자식

 

부모 자식이 정치 성향이 다를 때

누구나 자신의 소신대로 지지하는 정당이 있고, 뚜렷한 정치 성향을 가질 수 있어요. 한 가족이라고 해서 모두가 한 마음으로 같은 후보, 같은 정당을 지지할 필요도 없고요.

 

하물며 부부 사이에서도 정치 성향이 서로 달라서 부부 싸움을 하거나 심하면 이혼까지 결심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만약 부모 자식 사이에서 서로 완벽하게 엇갈리는 정치 성향을 보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처음엔 뉴스를 함께 보다가 특정 정당이나 인물에 관한 내용만 나오면 갑자기 화를 내시며 비난을 하시더라고요. 객관적인 근거보다는 감정이 앞서서 비난부터 하시니까 괜히 듣기가 불편했어요.

 

왜 그렇게 뉴스를 보며 화를 내시는 건지, 뉴스 내용은 전혀 듣지않고 욕부터 하시니까 괜히 나서서 반박을 하게 되더라고요. 서로 다른 정당을 지지하고 있음은 물론 완벽하게 정치적으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실해진 셈이죠.

 

가짜 뉴스를 못 보게 해야 한다?

부모님이 가짜 뉴스를 너무 많이 보신다며 부모님 휴대폰을 몰래 들여다보고 영상을 검열하는 자식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요즘 부모님 연세에서는 정치 유튜브 안 보시는 분들이 거의 없으시더라고요.

 

그런데 무조건 그건 가짜예요, 그런 영상 보지 마세요 하면서 나서는 순간 부모 자식의 대립은 더 극에 달하게 될 것 같습니다. 솔직히 가짜와 진짜를 구별하기 어려워진 세상에서 어떤 근거로 부모님의 휴대폰을 통제하며 자유를 막을 수 있을까요?

 

반대로 내가 보는 뉴스나 기사를 모두 잘 못 되었다고 믿지 않으며 부모님이 못 보게 말린다면 그 또한 가정 내 불화만 쌓여갈 뿐입니다. 끝까지 서로 자신이 아는 게 진짜라고 믿기 때문에 같은 주장만 되풀이할 뿐이에요.

 

서로 다른 정치 성향을 인정하자

결국 서로 자신이 믿는 것만 믿으며 평행선을 달리는 관계에서는 한쪽이 다른 쪽을 끈질기게 설득할 필요가 없습니다.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것까지만 인정하고, 서로를 이해하려 하지 않아도 됩니다.

 

어차피 내 생각과 다른 생각을 전부 이해할 수는 없고, 특히 정치 성향이 다르다면 서로 온전히 이해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으니까요.

 

다만 너무 노골적으로 상대 정당을 비난하거나, 내가 지지하는 정당에 대해 강요하거나 설득하려 할 때 언제든지 가족 사이가 다시 멀어질 수 있다는 걸 명심해야 합니다.

 

서로 정치나 종교가 달라도 가족은 가족입니다. 굳이 맞지 않는 부분을 드러내서 갈등을 키우기보다는, 그런 주제는 나와 성향이 잘 맞는 사람들과 만나 따로 이야기하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부부는 정치적 성향이 맞아야 잘 산다더라

 

부부는 정치적 성향이 맞아야 잘 산다더라

서로 모든 게 너무 잘 맞아서 싸울 일도 없다는 부부가 세상에 몇이나 되겠습니까. 사실 싸우자고 들면 화장실에 휴지 거는 방향 가지고도 싸우는 게 부부잖아요. 그런데 가족 간에 서로 꺼내지

k-seomin.tistory.com

 

명절 대화법 - 가족, 친척끼리 절대 하면 안 되는 말

 

명절 대화법 - 절대 하면 안 되는 말, 하면 좋은 말

우리 어른이들에게는 명절이 그리 신나기만 한 기간이 아니죠? 연휴라 쉬는 건 좋은데 그게 진짜로 쉬기만 하는 게 아니니까요. 마음은 아직 어린데 어른의 명절을 보내야 하는 우리들에게 필요

k-seomin.tistory.com

 

가족은 있는데 식구는 없다? 가족의 뜻과 의미

 

가족은 있는데 식구는 없다? 가족의 뜻과 의미

요즘에는 식구의 뜻이 널리 알려져서 그 의미를 명확하게 알고 계신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흔히 함께 살며 밥을 같이 먹는 사이가 식구라고 하죠? 그런 의미에서 꼭 가족이 아니어도 식구가 될

k-seomin.tistory.com

728x90